도민체전이 열흘남짓 남았습니다. 지역 곳곳이 특히나 경기장이 있는 곳으로 가는 도로들이 모두 새로 아스팔트 포장이 되고 있고, 건물마다 군에서 지원해준 페인트로 새로운 색깔을 칠하고 있으며, 좀 낡은 건물이나 보기 흉물스러운 곳들은 모두 임시담장으로 가리고 있습니다. 도심은 그 어느때 보다 무서울정도로 깨끗해져 있고, 74년이던가요? 남북적십자회담당시의 중랑천이나 88올림픽때의 낡은집 담장쌓아 감추기 등에 버금가는 일이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두가지의 견해가 있습니다. 무슨 도민체전 하나 하는데 이렇게 요란을 떠느냐는 견해와 덕분에 깔끔해져서 좋다는 견해입니다.
하천변도 이렇게 모두 불도져로 빤듯하게 파헤쳤습니다. 경기장으로 가는 도로에서 보이는 하천은 모두 풀이 깎이고 바닥이 이렇게 파헤쳐 1자로 공사를 했습니다. 탄정천과 남양쪽 하천, 그리고 지천 본류줄기를 모두 합하면 줄잡아 15km도 넘는 구간입니다. 물속 생태계의 처참함에... 참담 그 이상의 아픔이 있습니다.
그리고는 친환경체전을 홍보 하고 있습니다.
지난 60번도 넘는 도민체전을 통해 충남의 여타 지역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모르겠지만...
우리 동네는 도민체전 한번에 사생결단을 보이는 모습입니다. 두번만 더 했다가는 동네 하천이고 제방이고.. 모두 빤뜻 빤뜻 바둑판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숨겨진 비경들에는 다행이 손을 대지 않습니다. 단풍이 점점 절정으로 다가가는 듯 싶습니다.
강원도 북쪽 지방은 벌써 절정의 단풍을 구경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그 단풍아래 계곡가에는 2-3급수 수준의 더러운 물에서 잘 목욕하는 물까치가 연신 목욕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 친구들의 단체생활에는 일종의 룰이 있는 듯 싶습니다. 나무에 줄서 있다가 차례대로.. 내려가서 2,3마리씩 목욕을 하고 다시 나무로 올라갑니다.
옛날 우리집 개사료를 습격할때도 이와 같은 줄서기를 통해... 여러마리가 차례대로 질서있는 모습으로 습격을 하였었습니다.
수컷원앙은 이제 완연한 제 겨울깃을 찾았습니다. 특유의 뽐내기포즈도 잘 취합니다.
아 원앙 바로 앞에 있는 두마리의 오리는 암컷이 아니고 겨울철새인 쇠오리입니다.
흰뺨검둥오리와 떼를 이루며 서로 누가 숫자가 더 많은지 내기를 하는 것 같습니다. 참 많은 숫자가 냇물의 이곳 저곳에서 놀고 있습니다. 원앙과 흰뺨이 지천입니다.
말똥가리들이 돌아왔습니다. 지천구곡에서 서클링을 하던 녀석을 찍어보았습니다.
겨울철은 역시나 맹금류를 보는 재미가 솔솔한 계절.. 벌써 그 겨울이 돌아오고 있네요. .
어제 보았던 물수리보다 약간 몸집이 작습니다.
서클링을 할때는 말똥가리의 몸의 각도가 계속 변하기때문에.. 그에 따른 모습의 변화를 구경하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입니다. 맹금류의 위엄과 포스가 느껴지는 모습입니다.
올 겨울 내내.. 눈이 즐거울 말똥가리와의 조우...
남들 가진 단망원렌즈가 탐나는 시절입니다. ㅎㅎㅎ
다리를 참 좋아하시는 지자체장님의 뜻에 따라 지어진 또 하나의 다리가 까치내에 들어섭니다.
이 다리는 비교적 주변환경과 그나마 좀 어울리고.. 또 주차장과 유원지를 연결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을 인정합니다.
장곡교쪽으로 달리는 길에... 도리깨질을 하시는 풍경을 오랜만에 구경했습니다. 콩바심을 하는 모양입니다.
부엉부엉~~ 우엉~우엉~~ 수리부엉이 암수가.. 서로 교신을 하고 있는 곳은 인공폭포를 하려던 절벽입니다.
벚꽃길의 또 다른 아름다움.. 가을 단풍의 벚꽃길입니다.
조류보호협회 청양군지부에서 보호하고 있는 다친 수리부엉이들 입니다.
이 친구는 처음에 무척 아팠었는데..이제는 달개짓이 꽤 힘찹니다. 조만간 방사가 가능할 듯 싶구요.
지난번부터 모델이 되어주고 있는 이 친구는 두 세번의 방사시도가 실패로 끝나고..
아무래도 이 곳에서 겨울을 나야 할 듯 싶습니다. 여차하면 영원히 제대로 날지 못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광금리 산꽃마을에 새로운 보호시설이 완성되었습니다.
넓고 높아진 천정으로 날갯짓도 어느정도 가능합니다.
부디 빨리 나으시오.. 부엉씨들~~
'냇가이야기 > 젖줄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18일 홀쪽밀잠자리,깃동잠자리,메리골드,생강나무단풍,꼬리박각시 (0) | 2009.10.19 |
---|---|
10월 17일 광덕산환경교육센터,폐건전지핀볼,밤샘토론,충남환경교육한마당 (0) | 2009.10.19 |
10월 14일 어치,밭종다리,호리꽃등애,벼말리기,고개숙인나무,도꼬마리,만추 (0) | 2009.10.14 |
10월 14일 물수리와 왕진나루.. 임영휴선생의 남유록이 묘사하는 왕진마을 (0) | 2009.10.14 |
10월 13일 대치초등학교 생태학습 간이수질조사 / 수질 조사 항목 설명 (0) | 200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