냇가이야기/젖줄일기

[스크랩] 2011년 5월 3일 지천변... 사진들..

잉화달 2011. 5. 6. 00:56

 지천변 모처에는 지난 3월 사랑에 빠진 흰목물떼새의 귀한 열매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꽤 부지런한 부부입니다. 벌써 애들을 이렇게 키웠으니..-

너무 일찍 알을 낳게 되면 알 낳기 좋은 위치를 선점하는 효과도 있지만, 아직 차가운 강변의 돌들로 인해

부화에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일찍 새끼를 낳은 경우는  부부의 파트너쉽과 더불어 이 친구들이 서식하는 곳이 먹이조건이 좋은 곳이어야 합니다.

 

아무튼 살기 좋은 환경에 부부간에 협력도 좋은 커플이어서 인지  알을 네개나 낳았답니다.

다행이 모두 부화를 해서... 사형제였는데 ....

한 친구는 언제부터인가 보이지 않게 되었고 ㅠ.ㅠ 

(근처에 까치와 황조롱이 그리고 족제비들이 호시탐탐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했었습니다.)

 

그래서 엄마 아빠는 더욱 노심초사 합니다.

문제는 요 놈의 호기심 많은 막내 놈 인데...

 

형들이 항상 먹이활동 연습을 할때 엄마 근처에서 하는 반면.. 호기심 많은 이 친구는..

저만치 10-20미터까지도 떨어져서 놀 때가 많습니다.

결국 오늘 엄마한테 꽤나 꾸지람을 받은 모양입니다.

 

 주변이 시끄러워지자  오늘 만큼은 엄마를 잘 따라가네요.

항상 이렇게 품 속에 숨어주어야 엄마가 안심을 한답니다.      엄마 품이 그리운 봄날입니다. ^^

이 친구는 꼬마물떼새 수컷인데요.  사냥을 마치고 물기를 털고 있습니다.    이제 알을 품는 집사람과 교대하러 갈 시간입니다.

날이 따듯해져야  찾아오는 꼬마물떼새는 사시사철 있는 흰목물떼새보다 아무래도 좀 늦게 알을 품고 새끼를 기릅니다.

평균 20일 정도 늦게 시작하는 듯 싶습니다.      알들이 맹금류나 맹수등 이러저러한 이유로  희생되어  품기에 실패하면 6-7월까지는 또 알을 낳아서 재 시도를 합니다. 

새들 얘기는 이만큼만 하고..

사진으로  요즘의 봄날을 보자구요.

 

 죽림리 지천풍경

역광의 산괴불주머니

 병꽃

 병꽃이 된 이유.. 병 모양의 꽃봉오리

 너만 냉이냐.. 나도냉이다.

남양 삐리리 동네 계곡의 가재

 골담초

 정면사진

 측면사진

 광대수염

 광대수염확대

 매화말발도리

 

 

 

출처 : 지천생태모임
글쓴이 : 스콜라 원글보기
메모 :